이전시간에 객체를 만드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아래의 코드입니다. let user = { name : 'Mike', age : 30, } 하지만 개발을 하다보면 비슷한 객체를 여러개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예를들면 회원, 상품 등입니다. 이를 위해 생성자 함수라는 것이 있습니다 .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는 보통 첫글자를 대문자로 해서 함수를 만들어줍니다. function User(name, age){ this.name=name; this.age=age; } let user1 = new User('Mike', 30); let user2 = new User('Jane', 22); let user3 = new User('Tom', 17); new연산자를 이용하여 호출합니다. 생성자 함수는 붕어빵틀이나..
변수 자바스크립트 변수 선언에는 let, const, var가 있습니다. 이 3가지의 변수 선언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var var는 한번 선언된 변수를 다시 선언할 수 있습니다. var name = 'Mike'; console.log(name); // Mike var name = 'Jane'; console.log(name); // Jane 그리고 var는 선언하기 전에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코드는 에러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console.log(name); //undefined var name = 'Mike'; var로 선언된 변수는 코드가 실제로 이동하지는 않지만 아래처럼 끌어 올린것처럼 실행됩니다. 이를 호이스팅(hoisting)이라고 합니다. 위의 코드에서 undefined가 ..
배열 배열은 순서가 있는 리스트이다. 그리고 배열에는 인덱스가 존재한다. 1번에 철수, 2번에 영희 ... 30번에 영수 let students = ['철수', '영희', ... '영수']; students[0]; // 철수 students[1]; // 영희 students[29]; // 영수 students[0]='민정'; students[0]; // 민정 배열의 특징 배열은 문자 뿐만 아니라 숫자, 객체, 함수 등도 포함 할 수 있음 let arr = [ '민수', 3, false, { name : 'Mike', age : 30, }, function(){ console.log('TEST'); } ]; length length : 배열의 길이이다. students.length //30 push() p..
1. 함수(function)란? 함수(function)란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블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함수는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하나의 타입(datatype)입니다. 따라서 함수를 변수에 대입하거나, 함수에 프로퍼티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한, 자바스크립트 함수는 다른 함수 내에 중첩되어 정의될 수 있습니다. 1.1 함수의 정의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의 정의는 function 키워드로 시작되며,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가집니다. 1. 함수의 이름 2. 괄호 안에 쉼표(,)로 구분되는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 3. 중괄호({})로 둘러싸인 자바스크립트 실행문 function 함수이름(매개변..
1. 형변환(Type Conversion) 형변환이 필요한 이유? 더보기 자료형이 다르면 의도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료형을 맞춰주어야 하는 상황에 형변환을 사용해줘야 한다. ex) 예를 들어, 문자열과 숫자를 더하는 연산을 수행할 때, 만약 문자열과 숫자가 섞인 경우 숫자 타입을 문자열 타입으로 형변환하여 덧셈 연산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형변환을 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변수에 할당된 값의 타입이 예상과 다른 경우에도 적절한 형변환이 필요하다. 1.1 String() 괄호안의 타입을 문자형으로 변환해준다. 제일 앞의 S는 대문자로 써준다. String(3) // "3" String(true) // "true" String(false) // "f..
1.alert, prompt, confirm alert -> 알려줌 prompt -> 입력받음 confirm -> 확인받음 1.1 alert() alert 함수는 알림 창을 띄워주는 용도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기보다는 일방적으로 알리기 위한 함수입니다. 회원가입을 할 때 비밀번호가 틀렸습니다 이름을 입력해 주세요처럼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1.2 prompt() promt 함수는 보통 사용자에게 어떤 값을 입력받을 때 사용합니다. 추가로 입력창에서 취소를 누르면 null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prompt는 default 값도 입력가능합니다. prompt는 2개의 인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힌트를 주거나 안내를 할 때 편리하게 작용합니다. 1.3 confirm confirm ..
1.자료형 1.1 문자열 문자열 선언 방식은 "", '', `` 3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 " : 문자 중간에 '를 사용하는 문자열인 경우 큰 따옴표로 감싸주면 편합니다. ' ' : 큰 따옴표와 별 차이는 없지만 중간에 ` 를 표현하려면 \`로 표현해야합니다. `` : 백틱으로 문자열내부에 변수를 표현할때 사용합니다.(바로 표현식을 넣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ex) const message3 = `My name is ${name}`; 1.2 숫자형 숫자형은 다음과 같이 선언할 수 있고 숫자형은 사칙연산이 가능합니다. const age = 30; const PI=3.14; conslole.log(1+2); // 더하기 conslole.log(10-2); // 빼기 conslole.log(3*2); // ..
1.변수 1.1 변수 변수는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name="Mike"; age=30; 줄 마지막에 들어간 세미콜론(;)은 한줄이 끝났다는 의미로 써주고 생략해도 되지만 항상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자는 항상 따옴표로 감싸줘야합니다. 그리고 가끔 변수를 만들다보면 원인을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그 경우입니다. class="수업"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미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예약어라고 합니다. 1.2 변수 접근 함수 다음과 같이 alert을 사용하였을 경우 화면상단의 메시지로 출력함을 알 수 있습니다. name="Mik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