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변수
1.1 변수
변수는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name="Mike";
age=30;
줄 마지막에 들어간 세미콜론(;)은 한줄이 끝났다는 의미로 써주고 생략해도 되지만 항상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자는 항상 따옴표로 감싸줘야합니다.
그리고 가끔 변수를 만들다보면 원인을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그 경우입니다.
class="수업"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미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예약어라고 합니다.
1.2 변수 접근 함수
다음과 같이 alert을 사용하였을 경우 화면상단의 메시지로 출력함을 알 수 있습니다.
name="Mike";
age=30;
alert(name);
![](https://blog.kakaocdn.net/dn/bjCTUQ/btr7C2Eoi5y/2HlKCwEhHvkxDzlhRcZi90/img.png)
이번에는 console.log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console창에서 잘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p51C/btr7NQco7Yo/yNAMxiQzZwTYMlttyODAK0/img.png)
하지만 위와같은 방법으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위험합니다. 유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개발자와 함께 협력하여 개발 할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가지 키워드가 존재합니다. 바로 let이랑 const입니다.
1.3 let, const
let으로 name을 선언하고 다시 선언을 하면 name이 이미 선언 되었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let name = "Mike"
let name = "Maengsu"
![](https://blog.kakaocdn.net/dn/cahNG3/btr7TY0VeNZ/zrgpFLUaiNtjfuBJkkIDSK/img.png)
하지만 다음과 같이 다음번에 사용할때 let을 사용하지 않고 수정을 하면 마지막에 수정한 값이 나오게 됩니다.
let name="Mike";
name = "Maengsu";
![](https://blog.kakaocdn.net/dn/DS4Fi/btr7GAVwJQg/Ltdm7fyGkJLrNuN0lUlqnK/img.png)
const는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를 입력할때 사용합니다. const로 선언된 변수를 바꾸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파이,최댓값,생일 등을 입력할때 사용합니다.
2. 정리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때는, 변하지 않은 값은 const, 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합니다.
- 변수는 문자와 숫자, $와 _만 사용합니다.
- 첫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설정합니다.
-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선언합니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P0FY8k916e0&list=PLZKTXPmaJk8JDicsOyY2cTcwXmBa-ZceI
'프론트엔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6 - 함수, 함수 표현식 (0) | 2023.04.06 |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5 - 연산자, 논리연산자 (0) | 2023.04.06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4 - 형변환 (0) | 2023.04.05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3 - alert, prompt, confirm (0) | 2023.04.03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2 - 자료형 (0) | 2023.04.03 |
1.변수
1.1 변수
변수는 어떤 정보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때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name="Mike";
age=30;
줄 마지막에 들어간 세미콜론(;)은 한줄이 끝났다는 의미로 써주고 생략해도 되지만 항상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자는 항상 따옴표로 감싸줘야합니다.
그리고 가끔 변수를 만들다보면 원인을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그 경우입니다.
class="수업"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미 사용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단어들을 예약어라고 합니다.
1.2 변수 접근 함수
다음과 같이 alert을 사용하였을 경우 화면상단의 메시지로 출력함을 알 수 있습니다.
name="Mike";
age=30;
alert(name);
![](https://blog.kakaocdn.net/dn/bjCTUQ/btr7C2Eoi5y/2HlKCwEhHvkxDzlhRcZi90/img.png)
이번에는 console.log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console창에서 잘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p51C/btr7NQco7Yo/yNAMxiQzZwTYMlttyODAK0/img.png)
하지만 위와같은 방법으로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위험합니다. 유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개발자와 함께 협력하여 개발 할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2가지 키워드가 존재합니다. 바로 let이랑 const입니다.
1.3 let, const
let으로 name을 선언하고 다시 선언을 하면 name이 이미 선언 되었다는 에러 메시지가 나옵니다.
let name = "Mike"
let name = "Maengsu"
![](https://blog.kakaocdn.net/dn/cahNG3/btr7TY0VeNZ/zrgpFLUaiNtjfuBJkkIDSK/img.png)
하지만 다음과 같이 다음번에 사용할때 let을 사용하지 않고 수정을 하면 마지막에 수정한 값이 나오게 됩니다.
let name="Mike";
name = "Maengsu";
![](https://blog.kakaocdn.net/dn/DS4Fi/btr7GAVwJQg/Ltdm7fyGkJLrNuN0lUlqnK/img.png)
const는 절대로 바뀌지 않는 상수를 입력할때 사용합니다. const로 선언된 변수를 바꾸려고 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파이,최댓값,생일 등을 입력할때 사용합니다.
2. 정리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때는, 변하지 않은 값은 const, 변할 수 있는 값은 let으로 선언합니다.
- 변수는 문자와 숫자, $와 _만 사용합니다.
- 첫글자는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 가급적 상수는 대문자로 설정합니다.
- 변수명은 읽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선언합니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P0FY8k916e0&list=PLZKTXPmaJk8JDicsOyY2cTcwXmBa-ZceI
'프론트엔드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6 - 함수, 함수 표현식 (0) | 2023.04.06 |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5 - 연산자, 논리연산자 (0) | 2023.04.06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4 - 형변환 (0) | 2023.04.05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3 - alert, prompt, confirm (0) | 2023.04.03 |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2 - 자료형 (0) | 2023.04.03 |